음악/큐베이스

리버브와 딜레이, 보컬 믹싱에서 사용 순서와 방법

moodyblues 2025. 1. 11. 22:15
728x90

리버브와 딜레이 완벽 가이드: 보컬 믹싱에 생명력을 더하다

보컬 믹싱에서 리버브(Reverb)와 딜레이(Delay)는 공간감과 깊이를 더해 보컬을 돋보이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모노 채널에서 리버브와 딜레이를 기본적으로 설정한 후, 스테레오 그룹 채널에서 병렬로 추가적인 리버브와 딜레이를 적용하면 보컬이 더 입체적이고 풍성하게 들리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보컬 믹싱 시 모노 채널의 Vocal Chain에서 리버브와 딜레이를 설정하고, 이를 스테레오 그룹 채널로 보내 병렬 처리로 공간감을 강화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보컬이 믹스에서 선명하고 풍부하게 들릴 수 있는 최적의 설정은 무엇일까요?

리버브와 딜레이를 모노 채널과 스테레오 그룹 채널에 병렬로 적용하는 방법 정리

아래는 보컬 모노 채널의 Vocal Chain에서 리버브와 딜레이를 걸고, 이후 보컬 스테레오 그룹 채널로 보내 병렬로 리버브와 딜레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보컬 믹싱의 모든 것: 모노 vs 스테레오, 그룹 채널 활용, 리버브와 딜레이 조합 완벽 가이드

1. 모노 채널에서 Vocal Chain 설정 (개별 보컬 트랙)

모노 채널에서는 보컬의 기본 톤과 공간감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1-1. Gate (노이즈 제거)

  • 목적: 보컬의 숨소리, 배경 소음, 방해되는 잡음을 제거.
  • 설정 팁: Threshold를 조정하여 노이즈만 제거하고 보컬의 자연스러운 부분은 유지.

1-2. EQ (주파수 정리)

  • 목적: 불필요한 저역과 과도한 고역 제거, 명료도를 위한 중역대 강조.
  • 설정 팁:
    • 저역(100Hz 이하) 컷.
    • 2~5kHz 범위에서 보컬의 핵심 톤 살짝 강조.

1-3. 컴프레션 (다이내믹 조정)

  • 목적: 보컬 볼륨을 일정하게 유지해 안정감 있는 톤을 만듦.
  • 설정 팁: Ratio 3:1~4:1, Threshold를 보컬의 피크에 맞춰 자연스럽게 압축.

1-4. 디에싱 (De-Esser)

  • 목적: 'S' 소리나 과도한 고역대를 부드럽게 조정.
  • 설정 팁: 4~8kHz 범위를 살짝 줄여 시빌런스 제거.

1-5. 리버브 (좁은 공간감 부여)

  • 목적: 보컬에 약간의 공간감을 추가하여 자연스럽게 만듦.
  • 설정 팁:
    • Plate Reverb를 사용하여 좁은 공간감을 subtle(은은하게) 추가.
    • 프리딜레이 

1-6. 딜레이 (짧은 딜레이로 깊이감 추가)

  • 목적: 보컬에 깊이감을 추가.
  • 설정 팁:
    • Slapback Delay(50~120ms) 또는 템포 동기화 딜레이(8분음표) 설정.
    • Feedback 값을 낮게(10~20%) 조정해 반복이 많지 않도록.
    • 믹스 비율 10~15%.

2. 스테레오 그룹 채널로 보컬 보내기

모노 채널에서 설정한 보컬을 스테레오 그룹 채널로 보냅니다. 스테레오 그룹 채널에서는 여러 모노 보컬 트랙을 통합하여 공간감과 스테레오 이미징을 확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2-1. Saturation (톤 통일)

  • 목적: 보컬 그룹 전체의 텍스처와 따뜻함 추가.
  • 설정 팁:
    • Tube Saturation 또는 Tape Saturation을 subtle하게 사용.
    • Amount 값을 낮게(10~15%) 설정해 전체 톤을 부드럽게 통합.

2-2. Exciter (고역대 강조)

  • 목적: 고역대 선명도와 디테일 추가.
  • 설정 팁:
    • 5~15kHz 범위를 subtle하게 강조.
    • 지나치게 날카롭지 않도록 조정.

2-3. 병렬 리버브 (넓은 공간감 추가)

  • 목적: 보컬 그룹에 넓은 공간감을 부여.
  • 방법:
    • Hall Reverb 또는 Room Reverb 사용.
    • 프리딜레이 
    • 저역(200Hz 이하)과 고역(8kHz 이상)을 필터링하여 공간감은 유지하면서 보컬 명료도는 보호.
    • Send/Return 방식으로 설정하여 원본 보컬의 선명도를 유지.
    • 믹스 비율 10~20%.

2-4. 병렬 딜레이 (스테레오 딜레이)

  • 목적: 스테레오 깊이와 입체감 추가.
  • 방법:
    • Ping-Pong Delay 사용(좌우로 반복되는 딜레이).
    • 템포 동기화(4분음표 또는 8분음표).
    • Feedback 값을 적당히 조정(30~40%)해 자연스러운 반복.
    • 믹스 비율 10~15%.

2-5. 멀티밴드 컴프레션 (선택 사항)

  • 목적: 특정 주파수 대역의 다이내믹 통제 및 전체 톤 통합.
  • 설정 팁:
    • 저역, 중역, 고역 각각에 적절한 압축 설정(약한 Ratio: 2:1~3:1).

최종 순서 요약

1. 모노 채널 (Vocal Chain)

  1. Gate (노이즈 제거)
  2. EQ (주파수 정리)
  3. 컴프레션 (다이내믹 조정)
  4. 디에싱 (시빌런스 제거)
  5. 리버브 (좁은 공간감 부여 - Plate Reverb)
  6. 딜레이 (짧은 딜레이 - Slapback 또는 8분음표)

2. 스테레오 그룹 채널

  1. Saturation (보컬 그룹 톤 통일)
  2. Exciter (고역대 선명도 강화)
  3. 병렬 리버브 (넓은 공간감 - Hall/Room Reverb)
  4. 병렬 딜레이 (스테레오 딜레이 - Ping-Pong)
  5. 멀티밴드 컴프레션 (선택 사항 - 전체 다이내믹 통합)

주의점

  1. 레벨 관리: 리버브와 딜레이는 원본 보컬을 덮지 않도록 믹스 비율을 적절히 조정하세요.
  2. 병렬 처리 활용: 스테레오 채널에서 리버브와 딜레이를 Send/Return 방식으로 설정하면 원본 보컬의 명료도를 유지하면서 공간감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3. 청취 테스트: 헤드폰과 스피커에서 모두 들어보며 리버브와 딜레이가 자연스럽게 섞이는지 확인합니다.

리버브와 딜레이, 보컬 믹싱에서 사용 순서와 방법
리버브와 딜레이, 보컬 믹싱에서 사용 순서와 방법

"이 포스팅은 쿠팡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